맨위로가기

조조의 서주 침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조의 서주 침공은 193년부터 194년까지 조조가 서주를 공격한 사건이다. 조조는 아버지 조숭이 서주에서 살해당한 것에 대한 복수로 서주 자사 도겸을 공격했다. 193년과 194년에 걸쳐 두 차례의 침공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대규모 학살이 자행되었다. 이로 인해 서주 주민들은 피난길에 올랐고, 조조에 대한 반감이 확산되었다. 유비는 도겸을 도왔으며, 도겸 사후 서주를 차지하여 세력을 키웠다. 이 사건은 삼국 시대의 전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이 저지른 학살 - 갈근묘 학살
    갈근묘 학살은 1945년 8월 14일 만주국 갈근묘에서 소련군이 일본인 피난민 대열을 공격하여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소련군 오인 사격, 몽골인과의 갈등, 피난민 무장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며 일본에서는 전쟁 말기 만주에서 일본 피난민들이 겪은 최대의 비극으로 여겨진다.
  • 중국이 저지른 학살 - 니콜라옙스크 사건
    1920년 러시아 내전 중 니콜라옙스크에서 적군 빨치산이 일본군과 거류민을 공격하여 대규모 학살과 파괴가 발생했으며, 이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과 북사할린 점령의 구실이 되었고, 사건의 진상과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 194년 중국 - 복양 전투
    복양 전투는 192년부터 195년까지 조조와 여포 세력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로, 조조가 연주를 장악하고 세력을 확장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194년 중국 - 강동 평정
    손책이 아버지 손견의 죽음 이후 195년부터 199년까지 강동 지역의 여러 세력들을 격파하고 복속시켜 강동과 강남 대부분을 장악하며 오나라 건국의 초석을 다진 군사적, 정치적 활동이 강동 평정이다.
조조의 서주 침공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조조(오른쪽, 말을 타고 있음)가 서주를 공격하기 위해 떠나는 모습을 묘사한 명나라 시대 삽화.
조조(오른쪽, 말을 타고 있음)가 서주를 공격하기 위해 떠나는 모습을 묘사한 명나라 시대 삽화.
시기193년 ~ 194년
장소장쑤성
결과조조군 철수, 미결정
관련 전쟁후한말
교전 세력
교전국 1조조
교전국 2도겸
지원군전해
지휘관
지휘관 1조조
지휘관 2도겸
지원군 지휘관유비, 조표
병력 규모
교전국 2 병력5,000명 이상
피해 규모
교전국 2 피해민간인 100,000명 이상

2. 배경

조조가 서주의 도겸을 공격한 배경에는 아버지 조숭의 죽음이 있었다. 조숭은 동탁 토벌전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서주 낭야에 머무르고 있었다. 193년, 연주에 기반을 둔 조조는 아버지를 모셔오려 했으나, 조숭 일가는 연주와 서주 경계에서 살해당했다. 이 사건에는 두 가지 기록이 전해지는데, 도겸의 부하들이 조숭의 재물을 노리고 살해했다는 설과 도겸이 직접 부하를 보내 살해했다는 설이 있다.

2. 1. 조숭의 죽음과 도겸의 책임 논란

조조가 서주의 도겸을 공격한 배경은 아버지 조숭이 살해당한 사건에서 시작된다.

조숭은 은퇴 후 고향인 초(譙; 오늘날의 안휘성 보저우)에 살고 있었는데, 동탁 토벌전 때 그 일대가 전쟁터가 되자 가족들을 데리고 서주의 낭야(琅邪; 오늘날의 산동성 린이)로 이주했다. 193년, 연주에 근거지를 마련한 조조는 아버지를 모셔오려 했다. 그러나 조숭 일가는 연주와 서주의 경계 부근에서 살해당했다.

조숭의 죽음에 관해서는 두 가지 기록이 있다.

  • 자치통감과 도겸전, 오서에 따르면, 도겸이 조조를 두려워해 조숭을 지키라고 부하들을 보냈는데, 그 부하들이 조숭의 재물을 노리고 조숭을 죽인 뒤 도망갔다고 한다.[22]
  • 곽반의 필기소설집 세어에 따르면, 도겸이 부하를 보내 조숭을 죽였다고 한다.[22]


후한서자치통감의 기록을 좀더 풀어서 설명하면, 도겸은 근처 음평에 병력을 주둔시켰는데, 이들은 조숭의 재물에 눈이 멀어 그를 살해했다.[1][2] 위소오서 (동오의 공식 역사서)에 따르면, 도겸은 수도위 장개(장개)가 이끄는 200명의 호위병을 조숭에게 파견했지만, 장개는 대신 조숭을 살해하고 그의 재물을 가지고 도주했다.[3]

어쨌든 조조는 아버지의 복수를 하기 위해 서주로 향했다.[22] 도겸의 과실 여부와 상관없이, 조조는 그의 아버지 살해에 대한 책임을 그에게 물으려 했다.[4]

3. 제1차 서주 침공 (193년)

193년 여름 또는 가을, 조조는 군대를 이끌고 서주를 공격하여 10개 이상의 성을 함락시켰다.[23][24][25] 서주자사 도겸의 거점인 팽성(오늘날의 강소성 쉬저우)에서 조조는 10,000 명 이상을 죽였다. 도겸은 섬성(剡; 오늘날의 산동성 린이시 담성현)으로 도망갔다.[23][24]

도겸을 잡는 데 실패하고 식량도 부족해지자,[26] 조조는 군사를 돌려 철수하는 길에 취려(取慮), 수릉(睢陵), 하구(夏丘)를 약탈했다.[27] 팽성에서 도망쳐 나온 난민들이 몰려든 이들 외곽 지역에서 조조는 남녀 합쳐 민간인 100,000 명을 죽였고, 그들의 시체로 인해 사수(泗水) 강물이 막힐 지경이었다. 조조군은 민가의 닭과 개를 잡아먹고 집을 허물어 촌락들을 폐허로 만들고 연주로 돌아갔다.[28][29]

4. 제2차 서주 침공 (194년)

194년 봄, 조조서주를 다시 침공하자 도겸은 청주자사 전해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전해유비를 지휘관으로 하는 구원병을 파견했다. 도겸은 조조의 포위망 남쪽을 뚫고자,[30] 유비를 예주자사로 추대하고 4,000명의 군사를 그에게 딸려 보냈다.[31][32] 유비는 도겸의 부하 조표와 함께 담(郯) 동쪽에 주둔했다.[33][34]

조조군은 낭야와 동해(東海; 오늘날의 산둥성 탄청 현 근교)를 약탈하면서, 지나가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했다. 그리고 서쪽으로 돌아가는 길에 유비가 이끄는 도겸군과 조우하여 이를 무찔렀다.[33][34] 유비를 패퇴시킨 후 조조는 근처의 양륙(襄賁)도 점령했다.[35]

이후, 조조는 여포를 치기 위해 군사를 돌렸다.[36]

4. 1. 장막과 여포의 배신

194년 봄, 조조군은 서주를 다시 침공했고, 도겸은 청주자사 전해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전해는 유비를 지휘관으로 하는 수천 명의 구원병을 파견했다. 도겸은 조조의 포위망 남쪽을 뚫고자,[30] 유비를 예주자사로 추대하고 4,000명의 군사를 그에게 딸려 보냈다.[31][32] 유비는 도겸의 부하 조표와 함께 담(郯) 동쪽에 주둔했다.[33][34]

조조군은 낭야와 동해(東海; 오늘날의 산둥성 탄청 현 근교)를 약탈하면서, 지나가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했다. 그리고 서쪽으로 돌아가는 길에 유비가 이끄는 도겸군과 조우하여 이를 무찔렀다.[33][34] 유비를 패퇴시킨 후 조조는 근처의 양륙(襄賁)도 점령했다.[35]

조조에 의해 속수무책으로 짓밟히던 서주는, 조조의 근거지인 연주에서 장막과 진궁이 조조를 배신하고 여포를 끌어들여 조조와 대립하게 함으로써 살아날 수 있었다. 근거지가 여포에 의해 불안정하게 되자, 조조는 도겸에 대한 복수를 포기하고 여포를 치기 위해 군사를 돌렸다.[36]

5. 결과

유비는 전개에서 도겸으로 동맹을 옮겼고, 조조가 떠난 후에도 서주에 머물렀다. 194년 후반 도겸이 병으로 사망하자, 그의 아들 도상(陶商중국어)과 도응(陶應중국어)[20]은 지역 엘리트들에 의해 주지사직에서 배제되었고, 유비가 주지사직을 맡게 되었다. 이로써 유비는 조조의 서주 침공의 결과로 첫 영토를 얻게 되었다.[21]

5. 1. 유비의 성장

조조가 돌아간 뒤 유비는 전개에게 돌아가지 않고 도겸 곁에 남아 있다가 194년 도겸이 사망하자 도겸의 유언에 의해 서주자사직을 위임받았다.[37] 이 전쟁으로 공손찬의 부하로 떠돌던 유비는 독립 근거지를 마련하게 되었고, 위험한 피난길에 오른 거대 피난민 무리의 후미에서 극소수 병력이었으나 성공적인 보호 작전을 수행하여 현덕(玄德)이라는 호를 얻었다. 그리고 이때의 명성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는 촉한을 건국하게 되는 발판이 된다.[38]

194년 후반 도겸이 병으로 사망하자, 그의 아들 도상(陶商중국어)과 도응(陶應중국어)[20]은 유비를 선호하는 지역 엘리트들에 의해 주지사직에서 배제되었다. 그리하여 유비는 조조의 이 캠페인의 결과로 첫 영토를 얻게 되었다.[21]

5. 2. 조조에 대한 반감 확산

조조의 군대가 서주에서 학살에 전념하는 사이 장막여포를 중심으로 연주에서 조조에 대항해 반기를 들었다. 조조는 학살에 매몰되어 장막의 세력을 막을 수가 없었고 그 결과 연주의 2개 현을 제외한 전 지역을 장막의 군대가 점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2년간의 전투 끝에 조조는 간신히 연주를 되찾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장막과 같이 조조를 공격하던 여포가 서주를 차지하면서 또 몇 년간을 여포의 세력과 갈등하게 된다. 이때 연주가 조조에게 빠르게 반기를 든 이유로 조조가 서주에서 벌인 학살에 대한 반감의 영향을 추측하기도 한다.[1]

서주 주민들은 학살을 피해 난민이 되어 뿔뿔이 흩어졌는데 상당수가 형주교주 등으로 피난을 떠났다. 이들 가운데 제갈근, 제갈량 형제, 장소, 노숙, 태사자 등 상당수의 인재들이 조조에게 평생 적대했고, 이들이 촉한오나라의 건국에 크게 기여해 위나라의 중국 통일을 막은 시발점이 된다. 특히 태사자는 당대의 맹장이었으며 조조 휘하의 어떤 장수들보다도 싸움을 잘 해 조조가 직접 고구려산 당귀까지 선물로 줘가며 매우 공을 들여 영입하려 했던 인재였다. 또한 조조의 참모였던 진궁은 이 사건으로 인해 조조에게 크게 실망하여 조조를 배신하고 조조와 적대하게 된다.[1]

5. 3. 삼국시대 전개에 미친 영향

조조의 군대가 서주에서 학살에 전념하는 사이, 장막여포를 중심으로 연주에서 조조에 대항해 반란이 일어났다. 조조는 학살에 몰두한 나머지 장막의 세력을 막을 수 없었고, 그 결과 연주의 2개 현을 제외한 전 지역이 장막의 군대에 점령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2년간의 전투 끝에 조조는 간신히 연주를 되찾았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장막과 함께 조조를 공격하던 여포가 서주를 차지하면서 또 몇 년간 여포의 세력과 갈등하게 된다. 이때 연주가 조조에게 빠르게 반기를 든 이유로 조조가 서주에서 벌인 학살에 대한 반감의 영향을 추측하기도 한다.[1]

서주 주민들은 학살을 피해 난민이 되어 뿔뿔이 흩어졌는데, 상당수가 형주교주 등으로 피난을 떠났다. 이들 가운데 제갈근, 제갈량 형제, 장소, 노숙, 태사자 등 상당수의 인재들이 조조에게 평생 적대했고, 이들이 촉한과 오나라의 건국에 크게 기여해 위나라의 중국 통일을 막은 시발점이 된다. 특히 태사자는 당대의 맹장이었으며 조조 휘하의 어떤 장수들보다도 싸움을 잘해 조조가 직접 고구려산 당귀까지 선물로 줘가며 매우 공을 들여 영입하려 했던 인재였다. 또한 조조의 참모였던 진궁은 이 사건으로 인해 조조에게 크게 실망하여 조조를 배신하고 조조와 적대하게 된다.[1]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3] 서적 Book of Wu
[4]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5] 서적 Zizhi Tongjian
[6]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7] 서적 History of Chinese Warfare
[8] 서적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9]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10]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11]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12] 서적 Zizhi Tongjian
[13] 서적 To Establish Peace
[14] 서적 Zizhi Tongjian
[15] 서적 History of Chinese Warfare
[16] 서적 Zizhi Tongjian
[17]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18]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19] 서적 Zizhi Tongjian
[20]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1]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2]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3] 서적 Zizhi Tongjian
[24]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5] 서적 History of Chinese Warfare
[26]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27]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28]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29] 서적 Zizhi Tongjian
[30] 서적 To Establish Peace
[31] 서적 Zizhi Tongjian
[32] 서적 History of Chinese Warfare
[33] 서적 Zizhi Tongjian
[34]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35]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36] 서적 Zizhi Tongjian
[37]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38] 서적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